DB에서도 나오고 InMemoryDB에서도 나오는 용어중에 Trasaction Isolation level 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왜? 많이 나오는데 계속 정리는 하는데...계속 기억이 안 나기 때문이다...그리고 관련된 그림을 찾지 못해서.. 내가 이해한 대로 그림을 그려서 이해를 좀 더 쉽게 해보려고 한다.(잘못 된 것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일단 가장 기본적으로 현상 3가지를 알아야 한다.* 3가지 현상DirtyCommit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 허용NonRepeatable한 트랜잭션안에서 같은 쿼리를 했는 데 결과가 상이하게 나오는 비일관성 발생 (같은 쿼리가 실행하는 중간에 다른 트랜잭션이 데이터 값을 수정 및 삭제)Phantom Read일정 범위의 레코드를 두번 이상 읽을 때,..
From Docker v0.9, libcontainer become default driver to control cgroups,selinux and so on instead of LXC. This official docket team blog announced this change. However, it is not mature yet compared to LXC aspect of networking. Moreover, some feature which was used is not supported by libcontainer. That's why Docker team still supports LXC driver and they say " we continue to support the LXC dri..
Finally!! 마지막 RHCE 교육정리 4 일차입니다. 시험에서는 오늘 하는 내용이 거의 주로 나옵니다. 아니, 이게 다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할정로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RHCE 시험이 RHEL6 기반으로 이루어졌었지만 2014년 9월을 기점으로 RHCE 7으로 변경이 되었고 시험시간도 2시간에서 4시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다시 말해서, 만약 현재 RHCSA 자격증이 있으시고 2014년 9월이 된다면...... 앞으로 RHCSA 시험도 다시 다시 다시 RHCE 7 기반으로 다시 보셔야 해요!!!! 거기에다가, 시험시간이 2배로 늘었다는 이야기는.... 곧 엄청시리 어려워졌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하지만 기본 개념을 잘잡고 있다면, 새로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방법만 새로 배우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14장...
드디어 3일차 교육 정리입니다.앞의 글들을 읽어보셔서 아시겠지만, 이 블로그는 순수히 제가 공부한 것들을 정리한 거라 포멧팅이라든지 순서라든지 모두 제 맘대로 써있습니다. 그래서 보기 어려우실수도 있으나, 일일이 설명을 곁들이는것도 좋은 설명 방법이지만 쭈~욱 커멘트를 나열하고 그 결과값을 보여주는 것도 또 다른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포멧팅 하기 귀찮구, 순서에 맞쳐 다시 쓰기 힘들고...그래서 그랬어요 ㅜㅠ.. 잘 부탁드려요.. 11장. 안전한 중앙 집중식 저장장치 12장.SSL 캡슐화된 웹서비스 13장 웹서버 추가 설정
19.부팅 과정 문제 해결 *부팅 과정 및 복구모드 ==================== 1)BIOS 2)GRUB (/boot/grub/grub.conf) 3)kernel 4)init(/etc/init) 5)rcS.conf (/etc/rc.d/rc/sysinit=> 가장 기본적인 것들이 초기화된다., /etc/inittab => Run level을 알기위해 읽는다.) 6)rc.conf - /etc/init/rc.conf => 어떤 것을 실행할지 결정 - /etc/rc.d/rc => rc 5 rc[0-6].d/K* stop rc[0-6].d/S* start 명령어 실행 이 파일들은 symbolic link로 /etc/init.d/ 아래와 셸에 연결되어 있으며, chkconfig의 on/off설정으로 K인지..
18.FTP를 사용한 파일 공유*FTP 버즈 그룹 ============ - 그룹 소유권 : ftp - 권한 : 쓰기/실행 O, 읽기 X *SELinux ======== - 파일/디렉토리 유형 컨텍스트 : public_content_rw_t - 부울 : allow_ftp_anon_write (#setsebool -P allow_ftp_anon_write on) /etc/vsftpd/vsftpd.conf =================== anon_upload_enable = YES chown_upload = YES chown_username = daemon anon_umask = 077 (default value) *IPTables ======== /etc/sysconfig/iptables-config ..
17장 CIFS를 사용한 파일 공유 *CIFS 공유 액세스 ==================사용하는 이유 : windows와 unix 사이에 파일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서버 =====설치 패키지 : samba, samba-common, samba-client설정 파일 : /etc/samba/smb.conf[global] 섹션 -----------------workgroup - 네트워크의 Windows 작업 그룹 또는 도메인 이름을 지정하는 데 사용hosts allow - 서비스에 접근이 가능한 호스트들의 집합(ex, hosts allow =150.203.5. (연달아 찍은 도트 기호를 사용함)security 1) =user 특정 사용자만 가능 2) = share 누구나 가능 3) = domain NT 도..
16장. NFS를 사용한 파일 공유*서버===== - /etc/exports 파일에 파일 시스템을 정의함 - 2048/TCP를 사용함.example)/shared/current 192.168.0.0/24(rw,sync) /shared/archive 192.168.0.0/24(ro,sync) - restart없이 변경사항 적용 #exportfs -r- 모든 공유디렉토리를 표시 #exportfs -v(Note) 파일 소유권과 권한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NFS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그룹이 존재해야 하고, 각각의 사용자와 그룹이 클라이언트와 NFS서버에서 동일한 UID와 GID를 사용하도록 맵핑되어야 한다.NFS 클라이언트의 루트의 사용자는 NFS 서버에서 nfnobody로 처리됨. 이 보호를 비활성화하려면 no_..
- Total
- Today
- Yesterday
- certification
- RHCE
- redhat
- basement
- 옥빌
- 부모님초청이민
- Canada
- ansible
- TORONTO
- cert
- Jay
- 벌링턴
- 우드워킹
- Certificate
- Red Hat
- 온타리오
- 토론토정착서비스
- docker
- 부동산분석
- 캐나다
- 인터넷
- 정착서비스
- git proGit
- BC주
- RHEL
- 밀튼
- 미시사가
- BTBS
- 캐나다부동산
- 토론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