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7장 CIFS를 사용한 파일 공유
*CIFS 공유 액세스
==================
사용하는 이유 : windows와 unix 사이에 파일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서버
=====
설치 패키지 : samba, samba-common, samba-client
설정 파일 : /etc/samba/smb.conf
[global] 섹션
-----------------
workgroup - 네트워크의 Windows 작업 그룹 또는 도메인 이름을 지정하는 데 사용 hosts allow - 서비스에 접근이 가능한 호스트들의 집합(ex, hosts allow =150.203.5. (연달아 찍은 도트 기호를 사용함) security |
기타섹션
-------------
[home] - 홈 디렉토리를 자동으로 공유됨. [printers] -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사용 가능한 프린터를 공유 [share] 다른 공유를 만들려면 이렇게 대괄호에 이름을 넣으면 됨. |
*Sample
========
[global] workgroup = MYGROUP security = user load printers = yes ===> if no, 프린트를 공유하지 않는다.
[home] comment = Home Directories [printers] |
Samba 전용 user 생성
#useradd -s /sbin/nologin test1 #smbpasswd -a test1 New SMB password: winpass Retype new SMB password: winpass |
*클라이언트
===========
1. GUI 이용
Places - Connect to Server
2.samba client 이용(FTP 스타일)
# smbclient //server1/proj/ -U test1
#smbclient //server18/winuser18 -U winuser18%winpass
IP home/winuser18 user password
3.수동으로 CIFS 공유 마운트
#mount -t cifs -o user=username //server/share /mntpoint
#mount -t cifs -o user=winuserX //server1/winuser1 /mnt/
4.영구적으로 CIFS 공유 마운트
*예제
=====
#useradd test1~3까지 생성
# vi /etc/samba/smb.conf
Samba 유저 암호 생성
SELINUX 설정
IPTABLES 설정
|
'IT > RH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CE] 부팅시 문제해결 - Trouble Shooting (0) | 2014.08.17 |
---|---|
[RHCE] FTP 파일공유 (0) | 2014.08.17 |
[RHCE] NFS 파일 공유 (0) | 2014.08.17 |
[RHCE] 캐싱전용 DNS 서버 (0) | 2014.08.17 |
[RHCE] SMTP (postfix) 설정 (0) | 2014.08.17 |
- Total
- Today
- Yesterday
- certification
- 토론토정착서비스
- redhat
- TORONTO
- 옥빌
- git proGit
- 우드워킹
- BC주
- cert
- ansible
- 인터넷
- 밀튼
- 토론토
- 부모님초청이민
- 벌링턴
- 캐나다
- 온타리오
- Red Hat
- BTBS
- 미시사가
- docker
- Canada
- 캐나다부동산
- basement
- 정착서비스
- Jay
- 부동산분석
- RHEL
- Certificate
- RH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