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아는 윤모 부장님이 신입사원에게 보내셨던 이메일 내용이 유익해서 올려 봅니다.~~ 지난주에 몇개 명령어를 함수 파래매터로 주고 받을때 문자열을 아래처럼 주고 받고 그것을 비교해서제가 좀 놀랐었는데... if( direction == "backward" ){ : : } else if ( direction == "forward" ){ : : 왜냐면 Java 프로그래밍 할때 일반적으로 이런경우는 숫자(상수)로 만들어서 넘기고 비교하거든요.그것도 그럴것이 문자열의 비교가 상수의 비교보다 수십배 비싸기 때문에. (물론 String.equals를 사용한 경우) 그래서 JavaScript에서는 어떤지 간단히 테스트 해봤는데,앞선 메일에서 간략하게 말씀드렸지만, " " 기호로 만든 진짜 문자열 (문자열 Obje..
function을 new하는 메소드는 어떻게 생겼을까? Source if(typeof Object.create !== 'function'){ var Object = function(o){ return { create:function(){ var F = function(){}; F.prototype = o; return new F(); } } }; } Function.prototype.kkk = function() { var that = Object.create(this.prototype); var other = this.apply(that, arguments); return (typeof other === 'object' && other) || that; }; function add() { return ..
0.정의()가 없냐 있느냐에 따라 호출하는 방식과 그것이 의미하는 것이 달라진다. 일단 ()의 의미를 간단하게 실행이라고 생각하고 아래의 예제를 보자. 1.()가 없는 경우 Sourcevar serial_maker = function(){ var prefix=' '; var seq=0; return{ set_prefix:function(p){ prefix = String(p); }, set_seq:function(s){ seq = s; }, gensym:function(){ var result = prefix +seq; seq +=1; console.log(">>" + result); return result; } };};호출방법 var seqer = serial_maker();seqer.set_pref..
Javascript에서의 This는 자바의 개념과는 다르다. 자바에서는 언제나 자기자신을 가르키지만 여기에서는 의미가 계속적으로 변경된다.그래서 아직도 많이 헷갈리고, 아리까리 하지만, 테스트 통해 일단 기본적인 것들을 정의해보려고 한다. 자바스크립에서 function을 콜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4가지이다. Function form functionObject(arguments) Method form thisObject.methodName(arguments) thisObject["methodName"](arguments) Constructor form new functionObject(arguments) Apply form functionObject.apply(thisObject, [argumen..
Example을 통해서 Mockito가 어떻게 test case를 쉽게 만들어 주는지 알아보자. 우선 테스트 케이스는 다른 사이트에서 가져왔음을 알린다. ㅋㅋ 대신 나는 여기에 스토리를 추가해 보겠다. A팀과 B팀이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A팀은 번역기를 만드는 역활을 맡았고, B팀은 자동 번역기능이 추가되어 있는 채팅 프로그램을 만들기로 했다. 자!!! J는 B팀의 팀원으로 최초 채팅방에 조인했을때 "안녕하세요 누구님" 이라는 글을 찍어주는 로직을 만드는 task를 맡았다. 물론 외국인이 들어오면 외국인에게는 그나라 말로 인사말이 찍혀야 한다. J는 자리에 앉아서 고민을 하며 test case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런데 아무리 해도 test case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J가 만..
Mock 객체를 만드는 데 있어서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그냥 Dummy로 Class를 만들어도 되지만 이방법은 프로그램하기엔 자유도가 높긴하지만(내맘대로 뭐든지 할수 있다는 얘기지) 프로젝트가 커지면 커질수로 Dummy 역시 너무 많아지고, 중간에 로직이 변경이 큰경우 바꿔야하는 Dummy 객체의 수가 넘쳐 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름 정하기도 넘 복잡하므로 개인 테스트 말고는 사용하기엔 좀 벅찰듯하다...그래서 요즘 트랜드라고 하는 Mockito Mock Framework에 대해서 공부를 좀 해봤다...은근히 좋아보이긴하지만 아직은 조금 더 해봐야 알듯하다. 일단 Mockito에 대해서 알아보자. 너무나 좋은 글들이 많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아주 기본적인 내용만 다루겠다. 우선 Mockito를..
- Total
- Today
- Yesterday
- BTBS
- Red Hat
- 캐나다부동산
- 토론토
- ansible
- docker
- BC주
- git proGit
- 인터넷
- cert
- redhat
- 우드워킹
- 옥빌
- TORONTO
- 부동산분석
- 토론토정착서비스
- 온타리오
- 정착서비스
- 미시사가
- 부모님초청이민
- certification
- 밀튼
- basement
- 캐나다
- Jay
- RHEL
- Certificate
- 벌링턴
- RHCE
- Canad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