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JBoss 7/ EAP 6 이후 부터는 Remoting3를 지원한다.
그리고 JBoss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JConsole을 통해 JMX에 접근이 가능하다.
Local VM 방식으로 접속할 때에는 따로 정보를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생략하고 Remote로 접속할 경우에 대해서 적어본다.
Remote로 접속할 경우 접속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접속 방법 : JConsole
=>service:jmx:remoting-jmx://host:port
Example)
service:jmx:remoting-jmx://x.x.x.x:9999
그런데 써놓고 보니깐 뭔가 이상하다. 9999 포트는 우리가 정의해 놓은 Remoting port:4447 가 아닌 management port이기 때문이다.
다시말해서, JBoss 는 디폴트로 management port를 통해서 JMX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9999 포트 대신 4447 포트를 쓰고 싶을 경우도 있다. 왜? management port와 jmx 포트를 아예 분리시켜 접근 제한을 둘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럴때는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면 된다.
<subsystem xmlns="urn:jboss:domain:jmx:1.3"> .. |
마지막으로 remoting port을 사용하도록 했는데, 왠지 user/password 넣는 곳에 아무것을 넣어도 접속이 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왜 이럴까? 설정도 잘 되어 있는 것 같은데..
remoting-connector는 기본적으로 ApplicationRealm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하나 더 설정 되어 있는 것은 바로 <local default-user="$local"/> 이다. 보통 개발자가 테스트 할때는 로컬에서 하기 때문에 아무런 에러없이 JMX접근이 잘되던 이유는 바로
요넘이다. 이것은 로컬에서 붙을 경우 아무나 다 접근이 가능하게 해주는 설정이다.
<security-realm name="ApplicationRealm"> <local default-user="$local"/> |
이 설정을 지우고, add-user.sh을 이용하여 application user을 생성을 하면, 해당 유저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통제할수도 있다.
Reference)
https://www.jboss.org/jbossremoting/remoting-3.html
'이제 관심밖의 IT 기술 > JBo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e-java-context ? (0) | 2014.03.10 |
---|---|
[GC] CMS-concurrent GC Log Term 설명 (0) | 2014.03.05 |
[Twiddle] JMX 호출하기 (0) | 2014.03.03 |
JBoss EAP 6 High Availability Review (0) | 2014.01.28 |
[EAP512] Admin console에서 ID/PASS 넣는 부분이 사라질때 (0) | 2013.10.16 |
- Total
- Today
- Yesterday
- basement
- certification
- 토론토정착서비스
- 정착서비스
- Canada
- 캐나다부동산
- Certificate
- 인터넷
- TORONTO
- RHCE
- 토론토
- redhat
- 밀튼
- Red Hat
- cert
- 부모님초청이민
- 옥빌
- 벌링턴
- git proGit
- BTBS
- BC주
- 우드워킹
- RHEL
- 캐나다
- 미시사가
- 부동산분석
- 온타리오
- ansible
- docker
- Ja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