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장. 캐싱전용 DNS서버 *DNS 개요 ======== 인가된 이름서버 마스터 - 원본 zone 데이터 파일을 가지고 있는 서버. 기본 이름서버라 한다. 슬레이브 - 마스터에서 zone 데이터 파일을 복사받은 백업 서버. 보조 이름서버라고 한다. 인가되지 않은/재귀적 이름서버 캐싱 전용 이름서버 : 조회에만 사용되며, 일반 데이터 이외의 내용에 대해 인가되지 않음. 상대방의 zone정보만 가져오는 경우, 예를 들어, 사설망은 외부에 알려질 필요없으므로, zone 정보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음. *DNS 조회 ========= 1) /etc/nsswitch.conf 2) /etc/hosts 3) /etc/resolv.conf ( 인터페이스에 dns가 정해져 있지 않았다면 이파일을 이용하여 Name S..
Using Docker for test, it is annoying to write whole commands every time. For example, when I try to run an image, I should use long commands like following : docker run --name="$HOST_NAME" -i -t --hostname="$HOST_NAME" -P --lxc-conf="lxc.network.type=veth" --lxc-conf="lxc.network.ipv4=${IP}/24" --lxc-conf="lxc.network.ipv4.gateway=172.17.42.1" --lxc-conf="lxc.network.link=docker0" --lxc-conf="l..
- Total
- Today
- Yesterday
- certification
- 부동산분석
- 미시사가
- RHCE
- basement
- Jay
- BC주
- 토론토정착서비스
- git proGit
- redhat
- Canada
- 온타리오
- docker
- TORONTO
- 인터넷
- Red Hat
- 우드워킹
- 옥빌
- 벌링턴
- BTBS
- 부모님초청이민
- cert
- RHEL
- 정착서비스
- 캐나다
- 캐나다부동산
- 밀튼
- Certificate
- ansible
- 토론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